커뮤니티·동호회

자유게시판

바이오디젤 못보신분 보세요 ㅎㅎ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명선 작성일05-01-24 16:12 조회1,774회 댓글1건

본문

바이오디젤이란 무엇인가?



바이오디젤이란 식물이나 동물에 있는 지방성분을 경유와 비슷한 물성을 갖도록 가공하여 경유를 대체하거나 경유에 혼합하여 디젤엔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대체에너지입니다.



바이오디젤은 일반적으로 식물성유지(쌀겨, 폐식용유, 대두유, 유채유 등)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말하며 순도가 95%이상인 것을 지칭합니다. (산자부 고시 제2000-57호)



바이오디젤은 경유에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100% 바이오디젤 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경유 95%에 5%의 바이오디젤을 섞은 것을 BD5 라고 부르며 바이오디젤이 20% 포함된 것은 BD20 이라고 말 합니다.



바이오디젤은 폐자원의 재활용이나 온실가스인 CO2를 저감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이 적은 편이어서 국내외에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관심 받고 있습니다.

.



바이오디젤의 사용현황



현재 세계에서는 바이오디젤을 시범으로 사용하거나 시범사업을 통하여 보급을 늘려가고 있는 단계입니다.



먼저 유럽은 대체에너지 사용에 적극성을 갖고 있어 바이오디젤에 대한 제도가 정착단계에 이르고 있습니다. 일반 경유의 규격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사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04년 1월 발효된 유럽 경유 규격(EN590)에 따르면 바이오디젤 5%까지를 일반 경유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단, EN14214 규격 만족 필요)



미국에서는 1992년에 국립 바이오디젤 보드를 설립한 이후로 1998년부터 국회 및 EPA에서 BD20을 디젤차량 연료로 승인하였고 2001년에는 부시 대통령이 바이오디젤을 포함한 신 재생에너지의 보급확대를 천명한바 있습니다.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도입을 발표함에 따라 바이오디젤의 보급실적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육군, 공군, 에너지성, NASA를 비롯하여 주정부의 관용차량 및 버스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5월 산업자원부의 바이오디젤 시범보급사업 추진에 관한 고시에 근거하여 2년간의 시범운행을 하였으며 올해 다시 1년을 연장하는 등 바이오디젤에 대한 시장반응 및 문제점에 대한 검토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바이오디젤의 장단점



바이오디젤의 가장 큰 장점은 자동차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을 저감 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바이오디젤이 온실가스인 CO2를 배출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공정의 전 주기(생산부터 소비까지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에서 볼 때 CO2의 산출량이 아주 낮으며 황산화물(SOx)과 입자상물질(PM)도 다소 적게 배출합니다. 식물자원에서 생산되므로 국내에서 자체 생산할 수 있어 에너지 안보차원에서도 장점이 있으며, 폐식용유 등 폐자원의 활용으로 환경오염 저감의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인프라 측면에서도 대젤 엔진이나 주유소 유통망을 사용할 수 있어서 추가적인 소요 비용이 없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유나 휘발유를 대체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배출가스의 유해물질 저감을 위해서는 바이오디젤의 배합비율이 높아져야 하는데 바이오디젤은 엔진을 부식 시키는 특성이 있어서 엔진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래 저장하는 경우 변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식물자원이 필요한데 이를 재배하기 위한 토지를 확보하기 어렵고, 기후 변화에 따라 생산량의 변동이 있어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등 사용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예상됩니다.

.



향후 전망



국내에서는 2005년 경유승용차의 보급과 함께, 날로 심해지고 있는 도시의 대기환경 오염을 개선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바이오 디젤은 유해물질의 저감과 온난화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한정된 원료자원과 기후에 따른 급격한 원료가 변동 등의 문제점과 결국 경유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성격의 변형 에너지원이라는 점에서 아직은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2006년부터 경유의 공해유발물질 함량 규제가 강화되어 초저유황 경유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경유와의 차별성이 적어지는 점도 넘어서야 할 과제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전망으로는 경유의 일부를 대체하는 부분적인 사용은 가능하겠지만, 새로운 대체에너지원으로 위치를 점유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넘어야 할 장벽이 많고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집니

댓글목록

박영준님의 댓글

박영준 작성일

중요한 것은 경유연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은 유황의 함유량 때문인데......국내에서는 20%정도의 유황함유이고, 유럽에서는 5%정도의 유황함유경유를 쓴다던데.....쩝...유황함유량만 줄이면 대기오염 문제와 경유값 등 모든게 해결 되는데..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