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X4기술정보

코란도 기술정보

▲9구형데후를 신형데후로교체시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청래 작성일06-09-14 19:29 조회2,273회 댓글0건

본문







91년까지 구형 브렉키 계통은


브레이크가 잘풀리고,, 브렉키계통이 약한 경함이 있습니다


 


특히 비오는날의 주행은 드럼속에 물이들어각경우


브렉크를 밟으면 밀림 현상으로 제동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물속 웅덩이 주행후엔 한상 브렉키를 여러번 밟아서 드럼속의 물기를 말려줘야 합니다


또는  브렉크와  액셀을 동시에 밟으면서 주행하면서 물기를 말려줘야 합니다


 


93년이후 신형으로 브레이크로 개비를 하면 좋겠습니다만..


작업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한번씩의  브레이크 작업때마다  신형 부품으로 개비 되어가는


과정을 거치게될 차량도 많을것입니다


이유는 신형 부품이 구형 부품보다 쉽게 구할수있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신형 브레이크 개비 작업법을 미리숙지해 두는것이 좋습니다


 


 


아래내용은 문제가 생길때마다 하나둘 개비해가는분들도 있을것이고


나중에 한목에 일괄 개비하는 분도 있을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구형 데후를 영원히 못쓰느것은 아닙니다


산업용 경운기 패드와 포니패드가 호환되듯 라이닝은 알값 비슷한늠 리벳팅해서 쓰면되고


 패드는 큰늠 잘라서 쓰면 됩니다 혹은 호환되는 산업용 크기가있을수 있습니다


 


 


================================================================================


 


성능향상은 하이드로백 마스터 실린더만 바꾼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뒷데후통만 바꾼다고 해서 되는것도 아니고


앞갤리퍼만 바꾼다고 되는것도 아니기 때문에


 


브레이크 기능 향샹과 안정성을  위해서는 교체시에는


1신형하이드로백 마스터실린더


2,뒷데후


3,앞갤리퍼 일괄 모두 교체를 해줘야 합니다


==============================================================================


1,하이드로백은 구형과의 볼트구녕이 안맞으면 뚫어서 개비하시면되겠고


================================================================================


 


 


===============================================================================


2,뒷데후 교체는 이미올린 정보와 같이


 


1,일단 브레이크 라인 구조를 살펴 봅니다


마스터 실린더쪽에서 브레이크 호스라인이 2개 빠져 나와서 전륜으로


, 후륜은 호일실린더 압 조절기를 거쳐 다시 2가닥으로 갈라져서


후륜 데후 하우징을 타고좌,우 백플레이트 에붙은휠실린더로 이렇게 2가닥입니다


 


93년 이전과 이후씩은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모양에 따른 브렉킹 세기가 다름으로


브레이크 압또한 다릅니다


 


브레이크 오일 라인상의 브레이크 조절기 압은


1, 구형데후는 브레크 어셈블리가 하게 작용하는 구조 관계로 


약한 압을..조절기에서 조절하게끔 된 구조이며


앞 패드가 작고 뒷 브레크 드럼은 강하게 작용 하게끔된 구조 입니다


 


2 ,이후씩은 브렉크 어셈블리 기능이 약하며 브레이크 호스라인에서 강한 압을 조절 하게끔


 된 구조 입니다


 


93년 이후 데후가 좋다고 하여 이전년씩에


단순히 데후만 교체할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없을까요?


숏 바디라면 별루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만..


롱 바디의 경우에는 차량 무게가 있어서 미끌림 현상이 동반 됩니다


 


이유는 신형 데후의 브레크 어셈블리의 약한 기능과


구형 브레이크 라인상 조절기의 약한 압 때문이죠...


 


그렇다면 해결 방법은..


 


★,구형 조절기 볼트를 풀어 버리면 스프링을 늘어나게되고 강한 압의 생성되겠죠


일단 스프링 장력을 조정한후에 시운전을 해보면서


계속해서 미끌림 현상이 계속해서 발생 하게되면


93년이후 신형 브레이크 압 조절기로 교체를 합니다.


※ 교체시의 장점은 데후가길어서 코너링의 안정감과,,브렉크 성능향샹,라이닝갈때 좀더 쉽게


갈을수있습니다 또,,브렉크와 관계된 호일실린더,,자잘한 어셈블리 부품이 아무래도


구형보다는 많습니다


====================================================================================


3, 앞갤리퍼는 순정품은 그데로 부품점에서 구입할수 있습니다 


구할수없을땐 쏘나타것으로 개비를 하기도 합니다


 


구형보다는 갤리퍼와 드럼의 크기가 조금 커서 좀더 안정적 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작업은 세부부품만 구해서 끼울수는없습니다


예전 새부품을 쉽게따로 구할수있을때는 세부부품만 구해서 개비한적도 있었습니다


데후 통째 신형으로 교환하거나


데후통째 구입해서 세부부품만 분해해서 작업을 하려할땐 몇가지 숙지해 둡니다


 


 신형으로교체시 세부부품만 교체하려할때 교체 부품들


1,안카방과 드럼 갤리퍼 를 신형데후에서  분해합니다


※갤리퍼=순정(사제품으로 나온) 두개77000원인가?정도 합니다


중고그데로쓰셔도되고,기왕하는거  새갤리퍼 사서 개비하는것이 좋습니다


※구형은 준세이(일제여서 새것은 굉장히 비쌉니다)


안카방 구형을 쓰려면 신형의 드럼 크기가 맞지않아서  구형안카방을 두들겨서  안카방 테두리를 납작하게 만들어서 쓸수는 있습니다/하지만 신형드럼교체시에는 안카방도 신형을 쓰는것이 좋습니다


 


2,스핀들 잡아주는 브라켓 올챙이 같이 생긴 납작 쇠판 신형 안카방과 함께 바꿔줍니다


모양은 테두리 양쪽은 조금 튀어나오며 구녕이 두개있고 안쪽 동그란 테두리에는


구녕이 6개가 나있죠...


이부품의 이름은 모르지만 스핀들 잡아주는 브라켓으로 부르겠습니다(올챙이)


이부품은 구형은 동그란 테두리 양쪽 튀어나온 부분이(구녕뚫린부분) 구형이 더길기때문에


신형 드럼교체시에는 신형 올챙이 부품을 써야 합니다


 


2, 무쏘 앞 브레이크 호스준비(5천원정도)


 


어차피 앞 갤리퍼작업 작업량이 많으며 모두분해하게 됩니다


분해시에는 소모품 물팍 베아링은 교체하는것이 좋습니다


※액샤프트는 통일과, 코리아(스파이서) 굵기가 달라서 스플라인(크기또한 다릅니다)


액슬샤프트는 서로 바꾸어 호환해서 쓸수없습니다


원래 자신데후통에 있던(코리아=코리아 통일=통일) 기존의  액슬샤프트를 써야합니다


===================================================================================


 


작업순서


 


1,허브분해하고


 


2,구형 안카방어셈블리(드럼 갤리퍼를,브레크 호스를 비롯한)모두 분해해서 떼어 냅니다


 


갤리퍼와 호스는 분해전에는 바이스플라이로 호스를 찝어서 브레이크액이 세어나오지않게 합니다


후렌다안쪽/휠하우스 안쪽 브레이크호스  ㄱ" 브라켓 근처


(ㄱ"자 브라켓과의 거리는 5센티 거리 정도가 적당) 바이스 플라이로 물려둡니다


 


3,앞액슬 샤프트끄집어 내서 물팍베아링2개 교체 해둡니다


 


4,교체할 신형드럼과 신형갤리퍼를 장착합니다(볼트는 모두 기존볼트를 그데로 쓰면됩니다)


 


5,무쏘 브렉크호스를 겔리퍼에 끼웁니다


 


브렉크호스는 갤리퍼쪽은 쉽게 들어갑니다


후레무위 깡철쪽 ㄱ " 자브라켓은 조금의 수정개비 작업이 필요로 하게됩니다


 운전석쪽은 호스가 호스를 잡아주는 브라켓 구녕속으로 들어갑니다


 


6,조수석쪽의 호스브라켓(ㄱ"자로꺽어진 늠) 구녕은 좁아서 호스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둥근줄을 사용해서 구녕을 넓혀준후 끼워넣어야 합니다


 


7,모두 장착후  에어빼기를 합니다


에어빼기실시는 익히 아는바와 같이 한사람이 운전석에앉고 작업자는 밟고` 놓고``


외치면서 의사전달을 서로 주고받습니다


 


처음엔 작업중에 쏟아져나온 양만큼 브레이크 오일이 조금 부족할것이므로


오일통에 오일을 적당량만큼 보충해가면서 밟고`` 놓고``를 외칩니다


 


작업자는 오른쪽으로 쪼았을때 밟고를 외치며 10밀리 스폐너를 반바퀴 풀어서 브레이크 오일을


배출시킨후 다시 반바퀴 쪼으고 놓고``를 외칩니다


숙련자는 빠르게 여러번 5~6번 정도 에어빼기 볼트를 조았다 풀었다 합니다


 


6,마지막으로


앞바퀴를 잡고 좌,우로 몇번씩 제켜봅니다


브렉크 호스가 안카방과 간섭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작업중에 굵은 송곳사용할수있는곳 그리고 망치질할수있는곳


 


액슬빼는 작업은 액슬쪽의 경우 자주 작업 할일이 없거나 출고후 처음 작업하는 차량이 많은만큼


요령껏 망치질을 합니다 또 송곳이나 다가네 등으로,,망치질을 하게됩니다


요령있는분은 쇠망치로 없는분은 우레탄 망치로 두들기면 됩니다


 


ㅡ,망치질은 스핀들은 빡셀경우 툭툭(요령자는 땅~`땅) 쇠망치로 변형없이 칠수있습니다


ㅡ,액슬새프트가 잘들어가지않을경우 샤프트끝을 데후안쪽 방향으로 두들길수 있습니다


 


ㅡ,굵은 송곳은 허브베아링이 들어가지 않을경우, 허브넛트 쪼을때,


안까방 뒤에 붙은 쇠두꺼운 철판 올챙이 같은늠은 일자드라이버로 두들겨 제키고..


또 안들어갈땐 복스알에 복스대끼워서 치거나,,,다가네로 치거나 등,, 할수있습니다


====================================================================================


 


★허브쬬임과 안카방 볼트


1,허브는 완전히 체결후 조금풀고 드럼을 돌려보아 드럼의 무게에 의한 저항외엔


다른 저항은 없어야 합니다


2, 안카방 볼트6개는 절데로 임팩을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임펙을 사용할경우 목이 브러지거나 골고루 조여지지 않게 될수있으며


골고루 조여지지 않게될경우 데쿠바쿠시에 볼트는 부러질수있기 때문입니다


 


안카방 넛트는 처음엔 라쳇에 조금긴연결대를끼워 롱복스알을 사용 골고루 잘조아 둡니다


(힘을쓰기위해)


 


마지막엔 연결대를 빼고 복스대나 라쳇으로(깔깔이) 또다시 힘있게 골고루 잘조아 줍니다


(골고루 잘조으기위해)